머니디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머니디어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금융지식창고 (258)
    • 펀드 (29)
    • 재테크 합시다 (112)
    • 이런 저런 금융소식 (11)
    • 은퇴준비 (6)
    • 재무설계 (22)
    • ETF(상장지수펀드) (18)
    • 오늘의 성경말씀 (3)
    • 오늘 경제신문 정리 (29)
    • 일상 (2)
    • 머니디어(재테크PD) 소개 (1)
    • ☆★재무상담후기★☆ (22)
    • 좋은 투자 나쁜 투자 (3)

검색 레이어

머니디어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런 저런 금융소식

  • 종신보험을 저축으로 가입하다 황당하다!!

    2018.07.27 by 동로하선

  • 종잣돈 만들고 목돈불리기

    2018.07.19 by 동로하선

  • 농협중앙회와 단위농협 차이점

    2018.03.15 by 동로하선

  • 금리 상승기? 증시 조정기?

    2018.01.31 by 동로하선

  • 월 100만 원 투자로 10억 만들기

    2017.10.03 by 동로하선

  • FOMC 성명서

    2015.08.01 by 동로하선

  • 환율이야기

    2015.07.31 by 동로하선

  • 부자 증세 시대에 대비하라

    2012.10.20 by 동로하선

종신보험을 저축으로 가입하다 황당하다!!

종신보험을 저축으로 가입하다 황당하다!! 요즘 부쩍 종신보험을 저축 개념으로 가입 후 잘했는지 확인을 해 달라는 상담의뢰가 많이 들어옵니다. 답 부터 하자면 종신은 종신이지 저축이 아닙니다. 종신보험의 개념은 사망을 담보로 가입하며 피보험자 사망시 일정한 사망보험금을 받는 상품입니다. 우리 주변의?? 돈 많은 자산가들이 상속세 재원 마련을 위한 방법으로 가입하는 상품이기도 하구요. 최저 보증이 되고 기본 보험료에 추가납입을 하면 일정 기간뒤(최소 2년..) 중도인출이 가능하고 목적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논리로 영업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종신보험을 저축개념으로 가입한 후 추가납입을 하고 있는 비율은 한자리 숫자에 불과하다는 모 보험사의 통계를 보고 이건 참,,, 이런식의 영업은..

이런 저런 금융소식 2018. 7. 27. 17:21

종잣돈 만들고 목돈불리기

종잣돈 만들고 목돈불리기 '재테크 시간표' 따로 있었네 계절에 따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바뀌어야 할 것은옷차림 뿐만 아니다. 금융상품도 각 개인의 연령대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변화를 주어야 한다. 유년 시절에는 용돈을 저축하는 습관을 만들어 주는금융상품이 필요하다. 부모가 자녀에게 목돈마련을시작할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20대 에게는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고금리 금융상품을 기본으로자신의 성향에 맞는 다양한 상품을... 본격적인 사회 생활을 하는 30대 40대는고금리 상품을 통한 목돈 준비를 물론이고 주거래 은행을 선정해 최대한 많은 혜택의 기회를누리는 것도 중요하다 40대 중반 이후에는 은퇴에 대비한 금융상품에관심을 가지는 게 좋고 은퇴 이후에는 수수료 및금리 우대 상품 등을 ..

이런 저런 금융소식 2018. 7. 19. 13:01

농협중앙회와 단위농협 차이점

농협중앙회와 단위농협의 차이점 오늘은 하루종일 봄비가 내렸습니다 봄비치곤 제법 소나기처럼 내리기도 했는데요 봄비가 한번 내리고 나면 한걸음씩 봄이 더 다가옴을 느끼게됩니다 오늘은 지난번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던 농협중앙회( 제1금융권)과 단위농협( 제2금융권)의 구별에 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 공부를 하다보면 제 1금융권, 제 2금융권, 제 3금융권 이라는 말을 듣게 되고 그 구분을 궁금하게 생각하게 되는데요 그 구별법과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1금융권은 주요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을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시중은행 (신한, 우리, 하나, 국민, 기업 등등)을 말합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제 2금융권은 저축은행, 보험사, 증권사, 상호조합은행 (농협, 신협, 새마을금고..

이런 저런 금융소식 2018. 3. 15. 17:40

금리 상승기? 증시 조정기?

금리 상승기? 증시 조정기? 미국 금,리가 올 해 3차례 정도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코스피 지수가 어제 1% 이상 하락했는데요. 어제 저녁에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더 오르면서 오늘, 우리 주식시장은 아마도 적지않게 더 내려갈 것 같습니다. 요즘 분위기로 봐서는 미국이 금/리 팍팍 올리는 방향으로 가면 증시 상승 기운은 여기서 꺽이는 건가? 금리상승기? VS 증시 조정기? 이거 포지션을 레버리지로 잡아야 하나? 인버스로 잡아야 하나? 주식형 펀드로 잡아야 하나? 채권형 펀드로 잡아야 하나? 2월에는 오를 수도 또는 그러다 내릴 수도 있습니다. 미래 시장가격을 맞춘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우리가 아는 사실은 지금의 가격은 현재의 상황을 반영한 가격이라는 것을.. 그동안 금-리를 ..

이런 저런 금융소식 2018. 1. 31. 12:02

월 100만 원 투자로 10억 만들기

월 100만원 투자로 10억 만들기 2000년대 중 후반, O억 만들기 마케팅이 유행처럼 은행, 보험사 등에서 난립했었는데요 저축이나 투자로 억대의 현금을 만들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그럼 10억 만들기, 몇 년 걸릴까요? ‘Why Offshore, HK’에 한 페이지로 스르륵 지나가는 내용이기도 한데요, 기사 원문을 한번 읽어 보는 것도 좋을 거 같아 공유합니다. 행동재무학 / 저축으로 10억원 모으는데 걸리는 기간 시나리오 [30세, 월 100만원 저축 10억 모으는 데 걸리는 기간] 코스닥 / 60년 / 90세 (연 1% 가정) 적금 / 48년 / 78세 (연 2% 가정) 코스피 / 41년 / 71세 (연 3.5% 가정) 국민연금 / 30년 / 60세 (연 5.5% 가정) S&P..

이런 저런 금융소식 2017. 10. 3. 08:18

FOMC 성명서

어제 FOMC가 성명서를 냈죠. ‘Some’ 이란 단어 가지고 해석이 분분합니다. 금리 9월 인상설이 12월 인상설쪽으로 조금 더 무게가 실려간 것 같습니다. 9월이든, 12월이든…. 인상을 하긴 할 겁니다. 미국 금리인상 여부에 따라 많은 게 영향을 받겠죠. 지난 서브프라임 때는 몰랐던 게 터져서 쇼크였는데, 이번에는 사뭇 궁금합니다. 이렇게 오래 뜸 들이며 끌어 온 것이 막상 뚜껑이 열리면 어떤 양상이 전개가 될까요. 저는 최근에 브라질 채권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어제 브라질을 포함한 신흥국들의 위기에 대해 기사가 많이 떴죠. 일단 통화가 폭락을 했습니다. 그 이유는 세 가지. 첫째 - 미국의 금리 인상. (또!) 그리 되면 안전자산 선호 때문에 달러가 강세가 되겠죠. 둘째 - 이들의 큰 수입원인 원..

이런 저런 금융소식 2015. 8. 1. 14:46

환율이야기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구체화 되면서 먼저 시장에 반영이 되고 있는 것이 환율입니다.4월 27일 달러당 1,068원 이던 환율이 어제 1,161원 까지 올랐습니다. 원화의 가치가 -8.7% 달러가치가 앞으로 오른다고 가정하면 외국인들의 입장은 어떨까요? 지금 주당 123만 원인 삼성전자 주식을 판다고 생각해 볼까요1,161원 일 때 1,230,000 / 1,161 = USD1,059를 손에 쥘 수 있습니다. 하지만1,500원이 된다면 1,230,000 / 1,500 = USD 820 밖에 쥘 수 없습니다. 환율이 올라 갈 것이라고 예상하면 외인들은 조금이라도 빨리 팔아야 합니다. 아니면 주가라도 올라가야 하는데 환율 상승만큼 주가가 오르지 않으면 그 차이 만큼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그 사..

이런 저런 금융소식 2015. 7. 31. 23:49

부자 증세 시대에 대비하라

지난 8월 8일, 기획재정부가 2012년 세법개정안을 발표했다. 정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번 개정안의 기본 방향은 "일자리 창출 및 성장동력 확충", "내수 활성화 및 서민생활 안정", "재정건전성 제고", "조세제도 선진화" 이렇게 네 가지다. 이 중에서 어느 정도 규모 이상의 자사늘 소유한 투자자에게 가장 궁금하면서도 우려되는 항목은 "재정건전성 제고"일 것이다. 정부의 재정을 채우기 위해서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정부의 지출을 줄이는 것이다. 한마디로 긴축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글로벌 경제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정부가 쉽사리 긴축정책을 실행하기는 어렵다. 더구나 세법 개정의 또 다른 방향 중 하나가 "내수활성화 및 서민생활 안정"인 점을 감안하면 정부가 갑자기 허리띠를 졸라맬 가능성..

이런 저런 금융소식 2012. 10. 20. 12:1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머니디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