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선택 요령 EPS PER
주식투자 선택 요령 EPS PER
기업의 실적에 근거해서 내가 투자하려는
주식의 적정 가격이 얼마인지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EPS 라는 것을 구해야 해요
EPS의 뜻은 Earning Per Share의 앞 글자를
딴 용어로 "주당 순이익" 이라고 합니다
어떤 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이익
다른 말로 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누면 구할 수 있어요
EPS = 당기순이익 ÷ 발행 주식
계산까지 해 볼까요?
A라는 회사는 1년 당기순이익이 10억 원이고
발행 주식수가 10만 주 라고 가정하구요
그럼 이 회사의 EPS는 얼마일까요?
10억 원 ÷ 10만 주 = 10,000원
네,, 10,000원이 되는군요
다음으로 구해야 하는 것이
PER 입니다
PER는 Price Earning Ratio 의 앞 글자를
딴 용어로 "주가수익비율" 이라고 부릅니다
PER = 주가 ÷ EPS
계산해 볼까요?
B라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하구요
이 회사의 주가는 10만원, EPS가 1만 원 이라면
PER는 얼마일까?
10만 원 ÷ 1만 원 = 10
이 회사의 PER는 10 입니다
그 다음 판단해야 할 것은
지금 거래되고 있는 가격이 적정 주식가격
인가 라른 것인데요 PER는 현재 거래되고
있는 주가가 적정한 수준인지 알려주는
지표라고 볼 수 있어요
그렇다고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고
참고 또 비교 지수라고 보셔야 합니다
EPS는 높을 수록 좋지만
PER는 그렇게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죠
그러니 이 기업의 주가가 적정한지 알 수는
없겠지요 하지만 비교할 수는 있습니다
동종업계 C 기업은 주가가 20만 원입니다
어찌보면 C 기업이 더 고평가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C 기업의 EPS가 4만 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위 계산대로 하면 C 기업의 PER는
5가 되는 것입니다
20만 원 ÷ 4만 원 = 5
이런 계산을 해보니
B 기업은 PER = 10
C 기업은 PER = 5
B 기업보다 C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상대적인 것입니다
다른 특이사항이 없다면 B 기업보다 C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라는 것입니다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주가가 낮다고 정말로 싼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떤 기업의 주가가 1만 원이라고
주가가 싸니까 사자 하면 절대로 안된다는
말씀입니다 동종업계의 평균 PER와 경쟁기업의
평균 PER를 비교해 보면 판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식투자 선택 요령 과 EPS, PER
내가 투자한 주식이 오를까?
이런 판단으로 주식투자를 하실거에요
내가 산 주식 가격이 하락할 것을 기대하며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은 없을테니까 말입니다
어떤 기업의 PER가 변하지 않는다면 그 주가의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는 바로 그 기업의 실적 입니다
실적이 좋고 나쁨에 따라서 그 기업의
EPS도 점점 올라가고 또 주가도 오르게 됩니다
오늘은 주식투자 선택 요령이라는 주제로
포스팅 했습니다